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플라스틱 반찬통 바닥을 보면 번호가 써있는데

by 6myo6a 2024. 11. 15.

최근에 플라스틱 반찬통을 받아서 열심히 닦다가

바깥 바닥면에 숫자가 쓰여있는 걸 발견했다.

그전에도 봤는데 아기를 키우면서 그런 부분을 유심히 보게 된 걸까.

찾아보니 번호 별로 의미가 다르다고 한다.

 

숫자는 1~7까지, 총 7개의 종류로 나뉜다.

숫자와 재활용하단의 영문으로 구분된다고 한다.

 

1번 PETE달 보쌈, 파전, 막걸리

폴리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 생수, 음료수병에 해당하는 페트병

한 번 사용 후 분리배출하는 걸 추천

그리고 유색의 페트병은 어떤 화학물질이 포함되었는지 알 수 없어서 재활용이 어렵다고 함.

근데 쌀 담는 건 생수 페트병이 짱...

 

2번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러 번 사용해도 되고, 전자레인지 사용도 가능할 정도의 안전성이 보장된다고 한다.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니 안심.

 

3번 PVC

폴리염화비닐. 비닐 같지만 플라스틱이고 열을 가하면 독성 및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어 재활용마저 불가.

 

4번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단단하지 않고 포장재로 많이 쓰이는데 재활용이 어렵다고 함. 

 

5번 PP

폴리프로필렌. 우리가 흔히 보는 주방에서 쓰는 밀폐용기 등이 해당. 다행히 내열 온도가 높아 고온에서 변형이나 환경 호르몬 배출도 없다고 함.

 

6번 PS

폴리스티렌. 열에 약하기 때문에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의 변형이 가능하지만 재활용은 불가. 

 

7번 OTHER

여러 가지 플라스틱이 혼합되었거나 1~6번까지의 재질과 다른 플라스틱을 의미함. 즉석밥 용기가 해당하며 어떤 재질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고 함 (!!) 그래서 재활용 여부도 미지수.

 

 

반찬통 확인

번호라서 낮거나 높은 게 좋은 건가? 추측했는데 숫자의 기준은 모르겠지만 7개로 구분되어 있었군.

주방에 가서 반찬통으로 쓰고 있는 플라스틱을 확인해 보니 '5번 PP'도 많지만 '7 OTHER'도 많았다.

 

애정하는 반찬통들인데 7이 생각보다 많네
애정하는 반찬통들인데 7이 생각보다 많네

 

젖병도 7번이라니 초콤 당황쓰
젖병도 7번이라니 초콤 당황쓰

 

 

플라스틱은 안 쓰는 게 가장 좋다지만, 무거운 유리그릇은 손목 나가유 ㅜㅜ

환경도 살리는 가벼운 반찬통이 있다면 좋겠다.